생활 정보

봄의 절기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Peacewithu 2025. 3. 21. 09:58
반응형

우리나라의 24 절기는 전통적인 농업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눈 것으로, 각각의 절기는 특정한 기후적 특징과 농업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각 절기에 대해 계절별로 나누어 알아 볼까요?

 

 

(양력 2~ 5)

봄 절기

1. 입춘 (立春) – 2월 4일경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겨울의 끝자락에서 춘분을 향해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이 날을 기점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봄의 기운이 돌기 시작합니다. 입춘은 전통적으로 입춘첩을 붙이는 풍습이 있으며, 이는 새해의 시작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농사에서는 씨앗을 준비하고, 밭을 일구는 등 농업 준비의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입춘이 지나면 점차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겨울철의 추위는 점점 사라지고 봄의 따사로운 기운이 감돌게 됩니다.

2. 우수 (雨水) – 2월 19일경

우수는 봄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겨울의 찬 기운이 완전히 물러가고 비가 자주 내리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이 시기에는 봄비가 내리며 기온이 상승하고, 농작물의 씨앗을 심을 준비를 하는 시점입니다. 우수는 농사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 봄철 농업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또한, 우수는 겨울의 얼음이 풀리고 자연이 활기를 되찾는 시기로, 동식물들이 새 생명을 얻고 자연의 순환이 시작됨을 상징합니다.

3. 경칩 (驚蟄) – 3월 5일경

경칩은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로, ‘경’은 놀라움을 의미하고 ‘칩’은 잠에서 깬다는 뜻입니다.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고, 새싹이 돋아나는 시점으로 자연의 변화가 시작됩니다. 경칩은 농업 활동의 본격적인 시작을 의미하며, 봄철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을 키우기 위한 준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강한 바람과 기온 변화가 있을 수 있어, 날씨가 불안정하지만, 자연이 본격적으로 깨어나는 변화의 시기입니다.

 

4. 춘분 (春分) – 3월 20일경

춘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점으로, 봄의 중심에 해당하는 날입니다. 이때부터 기온이 상승하고, 봄의 기운이 가장 활발히 나타나는 시점입니다. 춘분은 봄의 진정한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며, 농작물의 자람에 중요한 시기로, 씨앗을 심고 본격적인 농사 준비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춘분은 일조시간이 길어지며, 자연의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시점입니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시작기회의 의미가 강하게 담겨 있습니다.

5. 청명 (淸明) – 4월 4일경

청명은 하늘이 맑고 깨끗한 시기로, 봄의 기운이 절정에 달하는 시점입니다. 기온은 더욱 따뜻해지고, 자연이 완전히 깨어나 꽃이 피고 나무들이 무성해지는 시기입니다. 농업에서는 씨앗이 잘 자라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청명은 또한 조상의 묘를 손질하고 제사를 지내는 날로, 예로부터 조상에 대한 기림과 감사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이때 날씨가 맑고 청명하여 여행이나 외출에 적합한 시기라고 여겨졌습니다.

6. 곡우 (穀雨) – 4월 19일경

곡우는 봄비가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시기로, 주로 곡식에 중요한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이 비는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씨앗을 뿌린 후 첫 비가 내려야 땅이 기름지게 되어 농작물이 잘 자라게 됩니다. 곡우는 농업에 중요한 절기로, 이 시기에 비가 내리면서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됩니다. 또한, 곡우는 봄의 끝자락, 여름이 시작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내리는 중요한 비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의 비는 자연과 농업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한 해의 농사를 예고하는 중요한 징후로 여겨집니다.

 

 

각 절기는 농업 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연의 변화를 반영한 중요한 기후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 각 절기는 사람들의 일상에 영향을 미쳤고, 농사 준비와 자연의 변화를 인식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반응형